연말정산 미리 준비하여 최대로 환급받는 방법 (3) 주택청약종합저축
안녕하세요. 기획자 호이입니다.
저번 포스팅부터 시리즈물로 연말정산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고 있는데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연말정산의 개념과 연말정산을 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카드와 현금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소득공제 혜택을 늘리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연말정산 미리 준비하여 최대로 환급받는 방법 (1) 연말정산 개념잡기
연말정산 미리 준비하여 최대로 환급받는 방법 (2) 카드와 현금의 사용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득공제 혜택을 늘리는 또 다른 방법 중 하나로써, "주택청약종합저축"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주택 청약을 위해 매월 꼬박꼬박 일정 금액을 납입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이번에 소개해드리는 내용에 꼭 주목해주세요!
(1) 주택청약종합저축, 너도 소득공제 상품이었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기 위한 첫걸음, 청약저축! 다들 이미 보유하고 계실 것 같은데요.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대표적인 소득공제 상품입니다. 총 급여액이 7,000만 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에 한하여 본인 명의로 해당 연도에 주택마련 저축에 납입한 금액 중 최대 240만 원 한도에서 40%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만 원에서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지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연간 한도 자체가 240만 원이기 때문에 매월 20만 원씩 납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월 20만 원씩 12개월을 납입할 경우 240만 원의 40%, 즉 96만 원이 공제가 됩니다. 보통 사회초년생의 연봉을 기준으로 했을 때 과세표준이 15%라고 가정하면, 약 15만 8,400원 환급이 가능한 것으로 계산이 되네요. (대박!)
(2)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소득공제 받는 방법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내역으로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우선 무주택 확인서가 필요합니다. 무주택 확인서는 본인이 청약저축을 가입한 은행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신분증을 가지고 가까운 은행에서 무주택 확인서를 신청하시면 은행에서 국세청으로 직접 서류를 제출하게 됩니다.
이후 주민등록등본과 주택마련 저축납입증명서를 회사에 제출하면 되는데요, 주민등록등본은 정부 24 사이트를 통해 무료로 온라인 발급이 가능합니다. 주택마련 저축 납입증명서의 경우 각 은행의 인터넷 뱅킹 홈페이지에서 증명서 발급 서비스를 활용하면 쉽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 예를 들어,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에서 주택마련 저축 납입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우리은행 홈페이지 바로가기 → www.wooribank.com
우리은행 홈페이지에 접속 후, '개인' - '소득공제대상 등록/해제' 메뉴에 들어가셔서 주택마련 저축납입증명서를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 신한은행 홈페이지 바로가기 → www.shinhan.com
신한은행 홈페이지 접속 후, '개인' - '증명서 발급 서비스' - '연말정산/납입증명서' 메뉴에 들어가셔서 주택마련 저축납입증명서를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참 쉽죠잉?
신청하는 프로세스가 전혀 어렵지 않으니 위에서 설명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올해 연말정산 진행하실 때,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내역에 대한 소득공제를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받을 수 있는 혜택은 최대한 꼼꼼하게 챙겨야죠!
이상으로 "주택청약종합저축"을 활용하여 소득공제 혜택 늘리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소득공제가 아닌 세액공제를 최대한 늘리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같이 읽어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