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채움공제 2년형 만기 후기 (feat. 1600만 원 목돈)
안녕하세요, 기획자 호이입니다.
오늘은 가만히 앉아만 있어도 피식피식 웃음이 나고, 밥을 먹지 않아도 배부른 그런 하루였습니다. 왜냐하면 오늘 드디어 청년내일채움공제 2년형 만기가 끝나 1600만 원이라는 목돈과 귀여운 이자가 함께 제 통장으로 들어온 날이기 때문입니다!
😎 여기서 잠깐, '청년내일채움공제'란?
- 미취업 청년(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중소·중견기업 유입을 촉진하고, 청년 근로자의 장기근속과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2016년 7월부터 시행된 제도
- (2년형)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3년 평균 매출액 3천억 원 미만인 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2년간 300만 원을 적립하면, 정부가 900만 원, 기업이 400만 원을 공동 적립하여 만기 시 1,600만 원의 목돈 마련
- (3년형)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3년 평균 매출액 3천억 원 미만인 기업) 중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뿌리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3년간 594만 원을 적립하면, 정부가 1,800만 원, 기업이 600만 원을 공동 적립하여 만기 시 약 3,000만 원의 목돈 마련
요새 중요한 프로젝트 하나를 맡고 있어서 스트레스가 절정으로 치닫고 있었는데요. 3단 돌려차기로 너덜너덜해진 기획서 작업을 하고 있던 찰나 핸드폰에 번쩍하고 알림이 하나 오는 겁니다. '뭐지?'하고 무심결에 핸드폰을 봤는데, 보자마자 헉! 하고 입을 틀어막았습니다.
드디어 아기다리 고기다리하면서 기다리던 청년내일채움공제 2년형 만기금액이 들어온 것입니다! (세상에)
1600만 원 만기 금액과 더불어 작고 귀여운 14만 원 이자까지 함께 저에게 찾아왔네요.
저의 청년내일채움공제 2년형 히스토리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2018.10.12 ::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 2020.09.25 :: 마지막 24회차 부금 납입
❑ 2020.10.11 ::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일
(만기일이었지만, 이때 아직 5회차 기업기여금과 취업지원금이 적립되지 않아 만기 신청을 하지 못하였음)
❑ 2020.11.16 :: 5회차 기업기여금 및 취업지원금 적립
❑ 2020.11.17 ::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신청
여기에서 하나 체크해두어야 할 점은 자신이 마지막 24회차 부금을 납입했다고 해서 바로 만기금을 신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기업기여금 및 취업지원금이 마지막 회차까지 적립이 되어야 비로소 만기금을 신청할 수 있게 됩니다.
저는 11월 16일에서야 5회차 기업기여금 및 취업지원금이 적립되었고, 바로 그다음 날 만기금 신청을 하였습니다. 만기금 신청을 하고 나서 보통 7 영업일 이내로 만기금이 입금된다고 안내를 받았는데요. 드디어 오늘 만기금을 수령하게 된 것입니다!
❑ 2020.11.23 :: 청년내일채움공제 2년형 만기금 및 이자 실수령
위 과정에서 만기금 신청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공제 만기금을 수령하기 위한 계좌를 검증하고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에 대한 간단한 만족도 설문조사를 하면 끝입니다. 정말 간단하죠?
1600만 원이라는 사회초년생에게는 다소 큰 목돈을 마련하고 이 포스팅을 쓰는 와중에도 아직은 약간 얼떨떨하기만 합니다. 처음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하고 매달 12만 5천 원씩 납입하면서 언제 만기금액을 받을 수 있을까 생각하곤 했는데, 벌써 그 날이 되었네요. 이 사업 내용에 대해 알려주고 같이 으쌰 으쌰 하면서 2년 동안 동고동락한 제 동기에게도 정말 고마운 마음입니다. 맛있는 밥 한 끼 대접해야겠습니다.
이상으로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 신청 방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후기였습니다.
현재 열심히 매달 부금을 납부하시며 만기를 기다리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같이 읽어보면 좋은 콘텐츠